어린이 학대

북한의 아이들은 사회 각층의 체제적 무시와 착취에 시달리고 있다. 북한에는 아동학대 개념이 없기 때문에 폭력의 문화가 스며들어 북한 어린이와 그 발달에 오랫동안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만약 막대기가 부러지면, 맞은 학생은 새로운 막대기를 만들어야 했습니다.” – 김혜숙

신체적 학대

PSCORE의 인터뷰 응답자 중 절반이 아동학대를 경험했고, 그중 85%가 신체적 학대를 경험했다.
WHO의 신체적 학대의 정의

아동에 대한 신체적 학대는 때리는 등의 방식을 통해 아동에게 의도적으로 신체적 위해를 가하는 행위를 말한다.

학대 장소

집에서

사적 영역에서 북한에서는 신체적 폭력이 흔한다. 몇몇 탈북자들은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신체적으로 폭력적인 것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관습이라고 보고했다.

부모마다 자녀에게 가해지는 폭력의 정도가 다르다는 증언이 나왔다. 조사에 따르면 낮은 사회적 지위 참여자의 52%가 신체적 학대를 경험한 반면 높은 사회적 지위 참여자의 25%만이 그러한 학대를 경험했다.

성별에 따른 폭력 사용에도 차이가 있는 것 같다. 남성 응답자의 47%가 신체적 학대를 경험했다고 진술한 반면, 여성 응답자의 40%만이 신체적 학대를 경험했다.

(Dominic Bugatto)
(Dominic Bugatto)

학교에서

신체적 폭력은 사택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학교에서도 받아들여집다. 체벌은 학생들의 일상생활의 일부인 것 같다.

주정부 시설에서

위원회는 대다수의 가해자들에게 책임이 없다고 판단했다. 한 피해자의 아버지가 들려준 무서운 이야기가 있다. 2011년 8월, 국가안전보위부 요원들이 그의 아들을 한국 영화를 봤다는 이유로 체포했다. 그는 구금되어 있는 동안 고문을 당했다. “그의 왼쪽 발목이 산산조각 났고 얼굴은 멍들고 심하게 망가졌다.” 부모는 SSD가 그를 풀어주기 위해 상당한 뇌물을 주어야 했다. 불행히도 소년은 뇌출혈을 일으킨 고문의 결과로 며칠 후 죽었다.

“당신 손은 등 뒤로 수갑이 채워져 있어요. 그리곤 서거나 앉을 수 없게 교수형을 당합니다.”

– 정광일

정치범 수용소

국가는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이 캠프들에 강제적인 실종을 저지른 죄가 있다. 아이들을 포함해서 가족 전체가 그곳에 보내진다.

정치적, 이념적, 경제적 “적 계층”의 숙청은 3대째의 가해자까지 확대된다.

한 목격자는 그녀가 학교에서 돌아오는 길에 체포되었을 때 겨우 13살이었다고 말했다. 그녀의 가족들도 이유 없이 체포되었다. 설상가상으로, 만약 그들이 그 이유를 묻거나 다른 수감자들과 그것에 대해 이야기한다면, 그들은 처형될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

증인은 정치범 감옥에서 28년을 지냈고 그녀는 석방될 때까지 이유를 알지 못했다. 그러던 중, 그녀는 그녀의 할아버지가 한국전쟁 때 대한민국으로 도망쳤기 때문에 그녀의 가족 전체가 체포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고아원

인도주의 기관들은 이 시설들에 접근할 수 없다 (UN 정보 위원회 (COI)가 수집한 탈북자들의 증언).

한 소녀가 강제로 붙잡혀 길거리 아이들을 위한 시설로 보내졌다. 그녀가 도착했을 때, 그녀는 의자에 서게 되면서 가죽 벨트로 두들겨 맞았다.

먹을 것도 모자랄 뿐 아니라 아이들은 하루 종일 앉아 있고 일주일에 한 번만 밖에 나가 화장실을 비우도록 했다.

아이들은 수업 시간에 밭에서 일함으로써 노동에 착취당한다. 탈북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어린이들이 농작물을 수확하고 트럭에 짐을 싣고 힘든 노동에 참여했다고 한다. 북한 아이들은 강제징용 임무를 완수하지 못하면 지속적으로 구타를 당했다.

성적 학대

아동들, 특히 어린 소녀들은 광범위한 가해자들에게 성적 학대를 당할 위험이 높아요. 북한이탈주민의 25.6%가 성적 학대를 경험했다. 43.9%는 두 가지 이상의 학대(성적, 신체적, 경제적, 또는 정서적 학대)를 경험했다.
WHO의 성적 학대의 정의

성적 학대는 아동이 완전히 이해하거나 동의할 수 없는 상태, 혹은 신체적 발달 정도가 미숙한 상태에서 아동을 성적 행위에 복종시키는 것을 말한다. 성적 학대는 성인, 혹은 다른 아동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학대 유형

성적으로 부적절한 스킨십

북한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는 아동 성학대의 형태는 성적으로 부적절한 스킨십이다.

강간

북한에서의 성학대 유형 중 강간 또한 드문 일이 아니다. 어리고 순진한 아이들이 성행위를 하도록 강요받는다. 종종 아이들은 너무 어려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조차 알지 못한다. 강간과 다른 형태의 성적 학대의 피해자들은 그들의 학대를 신고하지 않을 것 같다. 따라서, 가해자들은 이례적으로 어떠한 처벌도 받지 않는다.

STORY OF SE-JIN

At the age of 10, Su-jin stayed in the care of a man. He would touch Su-jin's body while she was asleep. It continued many times throughout her stay in the house, which lasted around a month. At first, he only groped Su-jin's body. But as time passed, the man also started taking Su-jin's small hand to rub and press against his own body. Su-jin still remembers the sensation vividly. At the time, she felt ashamed and confused. The feeling was unpleasant and gave her goosebumps, but she didn't know exactly why she felt those things and why he was doing what he was doing.

“인형을 가지고 놀다가 다른 게임을 하겠다고 했다. 나는 단지
그것이 고통스러웠고 그것을 좋아하지 않았다고 생각했던 것을
기억한다. 그는 ‘걱정말고, 그냥 숫자나 세자. 열, 아홉, 여덟…’
[…] 나는 계속 울면서 그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했지만, 부모님
은 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이해하지 못했다. 세 번째 나를
그와 함께 남겨 본 후에야, 부모님은 나를 그에게서 떼어놓기로
결정했다.”

– 북한 여학생(2014년 탈출)

학대 장소

가정이나 친척, 지인의 집에서는 아동이 성적 학대에 가장 취약한 곳이다. 아동들이 성적 학대의 손아귀에 빠지는 경우가 가장 많다.

그러나 북한의 학교는 또한 어린이들이 종종 성적 학대를 포함한 광범위한 학대에 취약한 적대적이고 위험한 곳이다. 이런 사건에서 교사가 성적 학대의 가해자인 경우가 가장 많다.

STORY OF KIM JI-YOUNG

One defector, Ji-young, told PSCORE that one night when she was 7 years old, as she was asleep wedged among the many people in her home, she awoke to an unfamiliar sensation. Her hand was inside one of the guest's pants, a man who was her mother's cousin. Ji-young was unsure of what was happening, as it was a completely unfamiliar situation for a 7-year-old. However, the unpleasant sensation remains stark in her memories to this day. At the time, all she could do was pretend to sleep and try to avoid her abuser for the rest of his stay. 

A year later, when Ji-young was 8-years-old, she spent some time in the care of her relatives. In that house, usually 5 or more people had to share a small room to sleep. Ji-young did not enjoy staying at this house and often cried. She was quietly sobbing one night when she felt someone climb on top of her. She felt a hand grope her bare skin under her clothes, but she did not dare open her eyes. Everyone was sleeping together in the room, and the perpetrator's wife was sleeping right next to them. Ji-young didn't want to wake them, or more accurately, she was afraid that even if they did awaken, they would pretend not to see. Ji-young did not think any of them would help her. Slowly, she turned her body as if turning in her sleep and fortunately, he quietly got off of her. Ji-young was very scared and felt devastated, but it occurred to her that for some reason, she shouldn't let the others find out that she was awake, so she did her best to stifle her sobbing. 

When she was 17-years-old, taller, and more mature, the sexual abuse occurred more often. Some days it was her uncle's friend, and on other days it was her father's friend or her aunt's friend and so on. They would touch Ji-young or put her hand inside their pants. She was always awake when it happened, but never made it known. The abusers would spend days at her home, and she had no choice but to face them during the day. 

One night, an uncle who was high on a drug called “pingdu” assaulted her. For the first time in Ji-young's life, she resisted with all her strength and pushed him off. The anger and sorrow she had been bottling up exploded all at once and she shouted at him, demanding him to explain himself. The uncle was still intoxicated, but he saw her tear-stained face and apologized. However, Ji-young could stand it no longer. She told her stepmother about her uncle's assault and her stepmother assured her that he would be punished by Ji-young's father. However, later that day her father and uncle came home laughing together. Far from being punished, her uncle was exchanging jokes with Ji-young's father. Ji-young felt devastated. Whether it was her stepmother who hadn't told her father, or her father choosing to ignore what happened, Ji-young felt like she was not being protected. 

After that day her uncle became violent. He slapped Ji-young for not serving his meal promptly and began to hit her constantly. And so, one day when her uncle again tried to hit her, Ji-young left the house with nothing but the clothes on her back. That was the day Ji-young left North Korea. 

More than 10 years have passed, but Ji-young still remembers each incident of sexual abuse, all the way back to when she was just 7 years-old. People tell her how fortunate she was not to have been raped, but one cannot help but ask, was she truly fortunate? 

STORY OF SO-HEE

When So-hee was 16 years old, she and her family stayed at her relative's house, which housed two male cousins. Again, the incident happened when everyone had gone to sleep near each other in the same room. So-hee's eldest cousin, who had been laying next to her, wrapped his arms around her waist. Although it had woken her, So-hee thought his actions were done in his sleep. Then, she felt his hand thrust inside her pants. She sprang up and went to lie between her parents, but was so repulsed that she was unable to fall asleep. Day broke and she was faced with her cousin, who he greeted her smilingly as if nothing had happened during the night. 

Another night. So-hee awoke to find her other male cousin hugging her from behind. She could feel his stiff penis against her back. When So-hee slowly turned to look, he gave her a grin, which made her hair stand on end. 

The ultimate reason So-hee escaped to China in 2014 was because her boyfriend at the time tried to initiate sexual intercourse without her consent. In fact, So-hee had no knowledge of how reproduction worked at the time and was scared that she could become pregnant from intimate contact alone. The combination of shame regarding premarital.

As a teenager, So-hee frequently witnessed her PE teacher and school principal sexually harassing students. It happened on a daily basis, and because there was no sexual education or awareness on the part of the students, they didn't understand the significance and simply felt embarrassed. 

Whenever So-hee recalls her secondary school days, her PE teacher is the first thing that springs to her mind. The teacher would unashamedly touch female students during their PE classes. The scene of him fondling the breasts and buttocks of the female students hanging on the horizontal bars is still vivid in her mind. There was no way for So-hee or the other students to escape the teacher's groping hands come PE class. 

The school principal would constantly spit out comments like, “Why are your buttocks so large?” or “I see your breasts have become bigger”. The students simply took it as teasing, and because it happened so often, they thought nothing of it other than feeling embarrassed. It was only after So-hee came to South Korea did she realize the inappropriateness of such comments. 

sexual contact and the terror of being pregnant caused So-hee to flee to China like a fugitive. 

게다가, 수많은 소식통들은 북한에서 공공 거리에서의 성희롱이 만연하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군인들이 저지르는 높은 학대율. 만약 군인의 강간 혐의가 인정되면, 그는 군 복무를 마치기 전에 집으로 돌려보내져 당에서 일할 수 있는 모든 기회를 박탈당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성폭력 사건들은 당국에 보고되지 않고 보통 군인들은 처벌을 면한다.

살아남기 위해 많은 북한 주민들은 거래를 시작하도록 강요받는데, 이는 허가 없이 행해진다면 불법으로 간주되는 행위이다. 그들은 학대하는 당국에 의해 좌우되며, 종종 성적 피해를 당하며, 그들의 물건을 압류당하거나 체포되거나 구금될 위험 때문에 그것에 대해 목소리를 높여 반대할 수 없다.

STORY OF EUN-YOUNG

Eun-young had to start trading when she was 14 in order to support herself and her family. While transporting goods to trade on crowded buses, men would grope her breasts and buttocks. This would happen on a daily basis. Even though her body was not yet mature, it seemed like it didn't matter to the men as long as she was female. Eun-young would twist her body or try to push their hands away, but that only gave her a moment's reprieve. As the men groped, they would stare into the women's eyes, daring them to cry out. It was the women who then had to avoid the men's eyes and turn their heads away in shame. 

It was not only on buses that sexual abuse occurred. There were numerous inspection points between Eun-young's starting and final destinations. Any time a security officer, guard, or police officer initiated an inspection, they would frisk each person's body to check for prohibited items. The authorities could grope as blatantly as they wished and no one could complain. It was a matter of survival. Getting through the inspection without incident was more important than thinking about the sexual harassment. Not a single woman complained about being touched. 

Sometimes, Eun-young would transport her goods via train instead of bus, but there were often multiple lengthy stops due to power shortages. When the trains lost power, the darkness allowed men to grope blatantly. It was as if they were just waiting for the trains to lose power and the lights to go off to begin their assaults. 

It was no use crying out when being groped. All Eun-young and the other girls and women could do was try to avoid them by hiding in a corner. 

If it appeared that the train would not move for a while, people would head to a nearby inn and all share a room regardless of gender or age. All sorts of things would happen in those rooms filled with strangers sleeping side by side. As it was a power outage that led everyone there in the first place, the inns were also dark, and it was difficult to even see the person next to you. 

A man climbed on top of the woman lying next to Eun-young. The man muffled the woman's mouth and told her he would kill her if she made a sound. His voice could be heard by Eun-young who was lying right next to them. Being so close, she could hear the rustling sounds of clothes being removed and the man moving. The woman didn't make a sound throughout the ordeal, and when it was over the man went back to his place as if nothing had happened. The only reason that man didn't climb on top of Eun-young was because she was with her aunt. It was something that happened frequently to women traveling alone without company. Her aunt whispered quietly, “if it didn't happen to you, then don't pay any attention to it. It happens all the time if you trade. You'll only invite trouble for yourself if you intervene.” That's probably what the majority of the people in the room were thinking, and why no one stopped him or intervened.

According to Eun-young, what she experienced was extremely common. Stories she heard of neighbors and family members were not extraordinary occurrences that only happened to certain people. Whenever she recalled those groping men on the buses and trains, it seemed to Eun-young that there wasn't a single man to be trusted in the entire world. How could she trust men who only saw women as bodies, and who groped her when she was still just a child? The more she ruminated over it as an adult, the more anger she felt: towards herself who hadn't cried out, and towards those men who had groped her when she was not even fully mature. These feelings tormented Eun-young in the form of nightmares for a long time.

(최성국)

“남자를 보면 나이가 많든 적든 소름이 돋았어요. 모든 남자들이
다 그렇게만 보여서… 어디에 말도 못하고 쌓이기만 하니 자꾸
남자들한테 쫓기는 악몽을 꾼 적이 많아요.”

– 은영

왜 피해자들은 자신의 학대를 신고하지 않는가?

낙인찍기와 피해자 비난

피해자 폭행과 사회적 낙인찍힘의 제도화가 워낙 강해서 피해자의 가까운 친구나 가족들도 학대를 포함해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하게 한다.

“우리 동네에 군인 3명에게 집단 강간을 당한 여자가 있었어요. 사람들이 그 여자에 대해서 뭐라고 하는지 들었어요. 그 군인 3
명이 누구인지는 아무도 이야기하지 않았어요. 그 여자가 당한
일만 이야기했죠. 그러니 어떤 여자가 당해도 당했다고 말할 수
있겠어요” 
– 은주

‘아동 성학대’ 개념의 부재

북한에서는 성폭력이 너무나도 만연되어 범죄 행위로 간주되지도 않는다.

학교에서는 성, 피임 또는 성병에 대한 교육이 없다. 성적 학대가 범죄
라는 것을 학생들에게 알리려는 노력이 없으며, 사람들은 의도적으로 무지
한 상태로 있는다.

오늘날에도 북한 남성들은 여자아이를 ‘미숙아’로 보지 않으며, 여자아이를 성차별화하면서 수치심이나 죄책감도 느끼지 않는다. “미성년자 보호”라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방임

WHO 방임의 정의

방임은 아동의 발달과 복지를 제공하지 못한 부모 혹은 다른 책
임자의 실패를 말한다. 이 경우에 아동은 건강, 교육, 정서적 발
달, 영양, 혹은 안식처 등의 영역에서 방치될 수 있다.

신체적 방임

신체적 방임은 부모/후견인 또는 보호자가 적절한 음식, 옷, 거주지, 관리 감독 또는 잠재적 위험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하지 못하는 방임의 형태로
설명될 수 있다.

일시적 방임

자녀들이 일시적으로 방치되는 일반적 원인은 부모들이 장시간 집을 떠나
일을 해야 하는 현실에서 찾을 수 있다.

인구의 40%가 식량을 감당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북한의 어린이들은 음식과 영양의 부족으로 인해 신체적인 경시를 경험합니다.

만성적 방임

“먹고살기 힘들어 부모가 아이를 버리기도 한다.”

한 탈북자는, 부모에게 양육할 여유가 없는 경우 아이들은 그 연령을 불
문하고 종종 버려진다고 말했다.

“어쩔 수가 없다. 아이가 3-4살인데 누군가 봐줄 사람이 없으
면…(방치하게 된다)”

– 한소영

의료적 방임

이러한 방임의 결과로 아이는 더욱 심각한 병에 걸리거나 죽음의 위험에 처하게 된다. 북한에서는 공공의료가 존재하지만, 양적으로 부족하고 효과적이지도 않다.

북한의 학교는 정기적으로 학생들에게 농사와 같은 육체노동을 요구한다. 이런 일은 대부분 고되고 위험하며, 학생들의 안전을 거의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된다. 교사들은 이러한 노동을 시키기 위해서 아이들을 자주 교실 밖으로 데리고 나가곤 한다.

북한의 어린이들이 부상을 당하는 이유는 선전행사나 체육행사를 위한 과도한 훈련에 있다. COI 보고서는 매스게임을 준비하던 한 어린이가 극도로 강도 높은 훈련을 받았고, 그 결과 종종 기절했다는 내용을 강조하고 있다. 때로는 아이들이 훈련과 약물 누락으로 사망하기도 한다.

교육적 방임

노동 시간

학생들이 흔히 학교 밖에서 시간을 보내는 이유 중 하나는, 많은 경우 아동 노동에 동원되기 때문이다.

이 탈북자는 교과 시간에 교사들이 학생들을 노력 동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설명했다. 학생들에게는 최소한의 밥과 야채가 주어지고, 이는 법적으로 허용된다. 대다수의 경우 학생들은 혹사당한다.

훈련

노력 동원과 함께, 아이들은 체육행사나 음악행사 같은 비 교과적 활동들
에 참여하기 위해서도 자주 학교를 빠지게 된다. 학교를 다니는 대신, 대부분의 시간을 이런 활동에 쏟는다. 북한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는 이런 활동이 특히 매스 게임이나 강제적 대중 선전행사를 준비할 때 자주 있다고 설명한다. 북한 학생들은 정기적으로 매스 게임과 같은 대중 선전행사에 참가해야 한다.

이러한 행사는 수개월에 달하는 준비를 요구한다; 학생들은 매스 게임을 위해서 4~6개월 동안 학교를 결석하며 훈련을 한다.

(Dominic Bugatto)

정서적 방임

따돌림에 대한 태도는 피해자가 원인이며 따돌림 당해 마땅하다는 식이다. 피해자를 탓하는 분위기는 부모와 교사로부터의 정서적 방치로 이어진다. 아이들은 어른들로부터 보살핌과 도움을 받을 수 없다는 인식이 커진다. 성적 학대의 피해자들은 자신의 시련에 대해 침묵을 지키고 있다. 이 침묵이 주는 영향은 결국 정서적 경시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벌주는 방법으로, 그 학생이 수업에 들어오면 나가라고 내 쫓기도 한다. 선생님과 다른 학생들이 관계가 좋을 경우, 왕따 시켜압박을 주는 방법이다.”

– 김학철

정신적 학대

WHO 심리적 학대의 정의

정신적 학대는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혹은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영적, 도덕적, 사회적 발달에 악영향을 끼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이는 행동에 대한 제재, 혹은 다른 이들 사이에서 남을 탓하거나 차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자기주도적 폭력

스트레스는 시간이 흐를수록 증폭되는 다양한 형태의 학대 (신체적, 성적 또는 방임) 트라우마로부터 야기된다. 감정을 제대로 추스리지 못하는 아이들은 결국 정신적으로 고통 받으며, 이는 심리적 학대로 나타난다.

불안과 우울

그 정권은 희생자들에게 어떠한 도움도 주지 않고 아이들의 심리 상태를 평가하려고 시도하지도 않는다. 공포와 일상 생활에서 비롯된 고립은 아이들의 잠을 빼앗는 트라우마로 변한다.

“부모들이 (유치원에서) 아이들에게 연습을 많이 시키고 때려도 뭐라 하지 않는다. 아이들은 하기 싫다고 말을 할 생각도 못한다.”

– 김연리

자살 행위

자기 주도적 심리적 폭력은 자살 행위와 자살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행동은 장애아동에게서 가장 흔히 나타난다. 북한의 기준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사회와 체제로부터 거부당하는 장애아동은 성인이 되기 전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장애 있는 사람들은 늙어 죽을 때까지 엄마랑 같이 사는 방법밖에 없다. 장애 있는 사람들이 늙어서까지 사는 사람을 거의 못 봤다. 중간에 다들 죽었다. 의붓언니도 아빠와 엄마가 헤어지고 나서 약 먹고 자살했다고 했다. 그때 언니가 19세 정도였다.”

– 이희은

대인 폭력

아이들의 이너서클

이들은 아이들의 발달과 안전을 책임지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심리학적으로 최악의 학대 형태로 간주된다. 그 결과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스트레스와 자기 주도적인 폭력이다.

지역사회

교사들은 대개 아이들을 처벌하고 통제하기 위해서 폭력적인 행동을 보인다. 매질과 물리적인 처벌은 심리적 처벌과 연관된다. 전에 북한에서 사용했던 훈육법을 설명하라고 했을 때, 한 전직 교사는 아이들을 조별로 나눠 서로 경쟁하게 했다고 한다. 경쟁의 포상은 아이들에게 큰 안도감을 주는 노동 시간 단축이었다. 경쟁이 끝난 후, 조 내에서 수행 결과가 좋지 않은 아이들은 버림받거나 외톨이가 된다. 따라서, 교사가 아이들에게 주고자 했던 압박은 아이들 서로에게 향하는 것이다.

집단폭력

집단폭력이란 친구들, 학교 제도, 또는 사회 전체를 포함하는, 더욱 큰 조직의 사람들이 저지른 폭력을 말한다.

사회적 집단폭력

Verbal collective aggression is unfortunately common. This kind of group behavior is sparked with the group-criticism sessions which leaves an unbreakable mark on the child’s psyche.

The victims of such insults tend to isolate themselves from the rest of society, which often backfires on them because of the controlling system.

정치적 집단폭력

공포는 김정은 정권의 가장 강력한 무기 중 하나이다. 모든 세대에 걸쳐 두려움을 유발하는 것은 당국에 대한 충성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이런 점에 있어, 공개 처형은 국민들에게 독재자의 통치에 반대하는 것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상기시키는데 효과적인 수단임이 분명하다.

처형의 잔혹함이 아이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

“사수들이 10명이 나와서 4명의 사형수에게 총질하면 피가 튀었다. 그러면서 사형수 허리가 꺾이는 것을 보았다. 그날은 밥도 잘 못 먹었다.”

– 김진주

성통만사에서 발간한 북한 아동 강제노동 보고서를 여기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하세요